[처치플랜팅] 미국의 새로운 교회개척 운동- 1부 네트워크 교회개척 운동



반응형



[처치플랜팅 기획연재] 미국의 새로운 교회개척 운동 

1부 네트워크 교회개척 운동

 

김경수


올 초 본원에서 발표한 문화선교트렌드에서 건물 없는 교회, 처치 플랜팅의 새로운 트렌드가 제시되었습니다. 모두가 교회의 위기를 말하고 교세가 줄어들 것을 걱정하는 가운데 새로운 형식의 교회가 개척되고 있다는 현상은 본질을 향한 갈망이 여전하다는 반증이기도 할 것입니다. 이에 본원에서 처치플랜팅 관련 연재 기사를 기획, 계속 싣고 있습니다. 이전 기사에서 성석환 교수(장신대 기독교와문화)3회에 걸쳐 미셔널처치의 관점에서 교회개척 운동이 부상하게 된 한국 교회 현실을 문화적, 신학적으로 분석했습니다. 동시에 한국 교회의 미래 생존을 위해 갖춰야할 조건을 살펴봤습니다.

● 성석환 교수의 교회의 미래 읽기 

[1부 기성 교회들의 위기와 변화를 위해] 

[2부 시대의 표징, '읽기(discerning)'와 '되기(becoming)' 사이에서] 

[3부 생존을 위한 조건]

이번에는 미국의 교회개척운동을 살펴봅니다. 15년간 미국에서 디아스포라 교회 개척 운동에 힘써왔던 김경수 목사의 글입니다. 총 5차례에 걸쳐 연재됩니다. 


[연재 순서]

1. 네트워크 교회개척운동(현재글)

2. 교회개척자와 교회개척

3. 소그룹과 교회개척

4. 디아스포라 교회개척

5. 한국 교회개척의 미래



어떻게 기성교회를 깨워서 새로운 교회를 시작하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우리 교회가 가지고 있는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새로운 교회를 개척할 것인가? 교회 성장학자 피터 와그너는 교회개척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방법론적으로 정의한다. “하늘 아래 단 하나 가장 효과적인 복음전도 방법은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것이다.”[각주:1] 전통적인 교회개척이라는 말과 동의어로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어는 “Church Multiplication”이다. 교회가 생물학적으로 배가한다는 말이다. 텍사스 노스우드교회의 Bob Roberts 는 목회의 성공을 교회개척과 관련해서 이렇게 정의한다. “성공은 대형교회를 이끄는 것이 아니라, 성공은 배가(개척)하는 교회를 이끄는 것이다.”[각주:2]

교회개척을 이야기 할 때, 사람들은 흔히 사과나무를 예로 든다. 사과나무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지 사과 열매를 많이 맺는 것일 뿐 아니라, 새로운 사과나무를 자라게 하는 것이다. 땅에 떨어지는 사과 열매 안에는 새 사과나무의 씨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건강한 교회는 단순하게 새로운 그리스도인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교회개척을 통해 건강한 교회 그 자체를 재생산 한다는 것이다.


이번 교회개척 시리즈의 목적은 미국사회와 교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회개척운동(Church Planting Movement/CPM)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교훈과 타산지석으로 삼고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스트모던 시대에 대한 반응으로 생긴 교회들을 소위 이머징 교회(Emerging Church)라고 부른다. 이머징교회에 대한 논의는 선교적 교회에 대한 논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서구 기독교 안에서 선교론과 교회론에 대한 심각한 신학적인 반성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전통적인 개념의 교회보다 하나님 나라가 더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머징 교회는 서로 다른 형태의 새로운 교회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이머징교회가 무엇인가 하는 것은 그것을 정의하는 사람마다 상이한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머징 교회는 겉으로 드러나는 새로운 예배형식이나 관계와 참여를 통한 소그룹 공동체사역보다 그 안에 더 깊은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하나님의 선교와 사회적 삼위일체론, 주류 교단의 쇠퇴, SNS의 부상, 세계화등이 그런 요소들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머징 교회는 관계를 통한 네트워크를 강조한다.

미국의 새로운 교회개척 운동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가 네트워크(network)에 기초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존의 교단 중심보다는 동일한 신학적 확신에 기초하거나, 개별 지역교회 네트워크 혹은 분명한 리더십을 가진 인물 중심으로 교회개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는 미국 교회 안에서 이미 왕성하게 일어나고 있는 교회개척 네트워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20113월 펜실베니아의 Covenant Fellowship Church에서는 'Plant' 라는 의미있는 교회개척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이 컨퍼런스는 미국에서 교회개척을 주도하고 있는 네 개의 네트워크들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PLANT! - FAQ 03: Why should I be excited about the PLANT! Conference? from Covenant Fellowship Church on Vimeo.


여기에 참여한 네 개의 네트워크를 소개하자면, 먼저 Sovereign Grace Ministry(SGM)라는 곳이 있다. 1982년 메릴랜드 주의 Covenant Life Church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Louisville에 본부를 두고 교회개척을 통해 지상명령을 수행하고 있는 교회네트워크이다.[각주:3] SGM2014년 현재 70개 교회가 네트워크에 가입되어 있고, 2014년 네트워크의 이름을 Sovereign Grace Churches로 바꾸었다. 이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는 사역자들은 매년 pastor's conference로 함께 모여 비전을 새롭게 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소개할 네트워크는 Nine Marks Ministry이다. 우리나라에도 소개되어 있는 교회학자이자 목회자인 Mark Dever가 이끄는 네트워크이다.[각주:4] 이 단체는 Capitol Hill Baptist Church를 중심으로 주말에 건강한 교회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고, 무엇보다 인턴십 프로그램과 신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한 교회에 대해 가르치고 세우는 사역에 매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주목할만한 네트워크는 Acts 29이다. 1998년 시작된 이 네트워크는 초교파를 표방하면서 지금까지 500개가 넘는 교회들을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개척하고 있다. 시애틀 마스힐 교회의 Mark DriscollActs 29 네트워크를 이끌다가 2014년 교회와 Acts 29을 떠났다. 불투명한 재정운영과 오만한 목회태도 때문이었다.

컨퍼런스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급부상한 교회개척 네트워크가 Redeemer City to City이다. 팀 켈러(Tim Keller)1989년 뉴욕시에 리디머 장로교회(Redeemer Presbyterian Church)를 개척한 후 교회개척자들을 위한 훈련센터를 세웠다. 2001년 팀 켈러는 도시중심 교회개척을 돕기 위해 Redeemer City to City를 시작해서 전 세계 45개 도시에 337개 이상의 교회가 개척되도록 돕고있다. 팀 켈러는 한 세미나에서 미국의 메트로 뉴욕의 문화코드가 미국의 시골 미시시피 사람들의 코드와는 맞지 않지만, 오히려 북경, 동경이나 서울등 전세계 대도시의 문화코드와는 통한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는 이야기이다. City to CitySGM보다 개척교회의 자율성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있으면서 느슨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아래 좌측부터 시계 방향으로 Sovereign Grace Ministry(SGM), Nine Marks MinistryActs 29Redeemer City to City 홈페이지.


이러한 네트워크 교회개척의 특징은 네트워크에 소속된 개 교회들이 분권화되어 있지만, 동일한 교리와 정신 그리고 신학적 동의에 의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교회개척자 선발과 훈련 그리고 개척 후 돌봄까지를 지원하는 독립적인 교회개척 지원센터를 두어서 교회와 리더들에게 교회개척과 목회에 필요한 자료들과 기금을 제공하고 있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지난 2년 사이에 SGMACTS 29, 이 두 운동들은 초창기 지도자들의 리더십의 문제로 크게 몸살을 앓았다. 그로 인해 네트워크 중심의 교회개척 운동이 위축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한편, 지난 몇 년 사이 한국교회 안에도 교회개척 네트워크들이 형성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각주:5] 건강한 교회론과 선교론 그리고 협동리더십을 통해서 한국형 교회개척운동이 계속해서 진행되기를 바란다.

오늘날 교회개척은 과거보다 지역적인 위치가 덜 강조되고 있고, 개척 스타일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모(母) 교회가 위성교회나 지교회를 분립개척하는 전통적인 형태와 더불어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개척교회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적합한 것이 네트워크 중심의 교회개척운동이다. 더불어 중요한 것은 교회개척자이다. 교회개척자들을 발굴하고 훈련하여 준비시키는 것이 교회개척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음 글에서는 교회개척자의 발굴과 훈련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다음 글에서 계속됩니다.)

 

 

글쓴이 | 김경수

지난 15년 동안 미국에 살면서 디아스포라 교회개척과 디아스포라 리더십 개발을 위해 일해 왔다. 비영리분야의 전반적인 경영과 평가 그리고 컨설팅에 관심과 열정을 갖고 있으면서, 지금은 에스라 성경대학원대학교의 법인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1. C. Peter Wagner “Church Planting for a Greater Harvest” (Regal Books, 1990) p. 11. [본문으로]
  2. Bob Roberts Jr., The Multiplying Church: The New Math for Starting New Churches (Grand Rapids; Zondervan, 2008) [본문으로]
  3. SGM과 Redeemer City to City의 교회개척 사역은 주님의 은혜교회(www.sgmlordsgrace.org)와 뉴시티교회(www.newcity.or.kr)로 한국에서도 열매를 맺고 있다. [본문으로]
  4. 우리나라에는 “건강한 교회의 9가지 특징”으로 부흥과 개혁사에서 소개했다. [본문으로]
  5. 나들목교회의 하나복 DNA, 안산 동산교회의 큰 숲 운동, 교회 2.0 목회자운동 등이 있다, [본문으로]
반응형
카카오스토리 구독하기

게 시 글 공 유 하 기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밴드

문화선교연구원

문화선교연구원은 교회의 문화선교를 돕고, 한국 사회문화 동향에 대해 신학적인 평가와 방향을 제시, 기독교 문화 담론을 이루어 이 땅을 향한 하나님 나라의 사역에 신실하게 참여하고자 합니다. 서울국제사랑영화제와 영화관 필름포럼과 함께 합니다. 모든 콘텐츠의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미지 맵

    웹진/스페셜 다른 글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