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문화와 한국 문화
한국사회와 역사 속에 기독교문화는 어떻게 뿌리를 내릴 것인가
21세기 다원화 시대를 맞아 한국 기독교문화가 한국문화 속에서 어떠한 역할을 감당해야 할지 깊이 고민해야 할 때다. 무엇보다 기독교적 정체성과 한국문화의 독특성을 함께 담보할 수 있는 문화신학적 접근과 대안이 절실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책은 의미가 있다.
첫째 부문에서는 한국교회가 그 동안 우리 사회문화적 변동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왔고, 그러한 대응의 역사를 통해 문화신학의 전통적인 주제인 '그리스도와 문화'라는 측면에서 폭넓게 펼쳐진 신학적 스펙트럼을 살펴보았다.
둘째 부문에서는 구체적으로 전통문화와 또 대중문화를 대하는 현대 한국교회의 대응양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문화적 토양으로서의 한국 교회가 전통문화와 대중문화를 어떻게 수용해 왔는지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초기에는 거부와 저항의 양태가 많이 나타났지만, 그 또한 문화적 수용의 한 과정을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머리말
Section1. 한국사회의 변화와 문화인식 패러다임의 변화
한국사회의 변화와 문화인식 패러다임의 변화 / 진행자 장흥길
한국사회의 변화와 신학적 성찰성 / 김진호
"한국사회의 변화와 신학적 성찰성" 에 대한 논찬 / 김형민
한국문화와 한국교회의 관계유형의 변천사 / 정원범
"한국문화와 한국교회의 관계유형의 변천사"에 대한 논찬 / 김영동
Section2. 한국교회의 한국문화 수용 : 전통문화와 대중문화
"한국교회의 한국문화 수용: 전통문화와 대중문화" / 진행자 임희국
한국교회의 전통문화 수용에 관한 연구 - 한국 민족종교의 사상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조재국
"한국교회의 전통문화 수용에 관한 연구"에 대한 논찬 - 내용 분석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최성수
한국교회의 선교와 대중문화 / 최형근
"한국교회의 선교와 대중문화"에 대한 논찬 - 대중문화 속의 선교 전략-/ 신국원
[알라딘 제공]
게 시 글 공 유 하 기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밴드 |
댓글